3/28 수 삼성재벌 규탄집회! 삼성 핸드폰 위치추적사건 재수사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삼성일반노조 작성일18-03-29 13:53조회38,546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3/28 수 삼성재벌 규탄집회! 삼성 핸드폰 위치추적사건 재수사하라!
http://samsunggroupunion.org/gnu/bbs/board.php?bo_table=bbs_free&wr_id=130284
삼성무노조 노동자 사찰 인권유린은 현재 진행형이다!
삼성무노조 노동자탄압 삼성핸드폰 위치추적 사건, 검찰은 재수사하라!
삼성은 삼성 이름에 똥칠한 성매매범 이건희를 징계해고하라!
뇌물횡령 범죄자 경영복귀 개소리다,
삼성족벌 이재용을 삼성경영에서 배제하라!
정경유착 삼성족벌 범죄자 이재용을 재구속하라!
대한민국의 독버섯, 사법부 판검사 삼성장학생 발본색원 처벌하자!
김성환위원장은, 작년에 노조를 설립한 웰스토리 노동자에 대한 삼성재벌의 컴퓨터 사찰은 삼성그룹차원의 조직적인 범죄임을 폭로하며, 삼성재벌 무노조 경영을 위한 삼성노동자 사찰은 현재진행 중임을 폭로 규탄하며 2004년 삼성핸드폰 위치추적사건의 재수사를 촉구하였다.
=> 한겨레21 1202호 기사내용
제120삼성의 직원 감시는 유령과 같다.
곁에서 배회하는 것을 느끼지만 실체를 붙잡긴 힘들다. 증거를 손에 움켜쥐었다고 생각하는 순간에도 빠져나갈 구멍이 생겨난다. 삼성웰스토리가 회사와 분쟁 중인 직원의 컴퓨터를 캡처(갈무리)하는 방식으로 감시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지만, 그 실체가 제대로 규명될 지 자신하긴 힘들다.
2005년 삼성위치추적사건 검찰의 부실 수사
삼성의 직원 감사 사례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2004년 불거진 삼성SDI 노동자 등의 ‘위치추적 사건’이다. 2004년 7월 김성환 삼성일반노조 위원장과 노조 결성을 준비하던 삼성SDI 노동자 등은 자신의 휴대전화가 복제되고 위치가 추적된 사실을 확인하고 이건희 삼성 회장 등을 검찰에 고소했다.
당시 위치추적 피해자로 파악된 사람만 20여 명에 이르렀다. 대부분 삼성 내 노조 설립을 준비하는 사람들이었다. 위치추적이 퇴근 시간 이후 집중적으로 이뤄졌고, 불법 복제된 휴대전화의 발신 기지국이 삼성SDI 수원 공장 근처라는 이유로 이건희 삼성 회장, 김순택 당시 삼성SDI 대표이사 등을 피고소인 명단에 올렸다. 회사가 위치추적을 한 정황이 뚜렷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은 2005년 2월 휴대전화가 복제되고 위치추적이 있었던 사실은 확인했지만, (위치추적을 실행에 옮긴) 피의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없다며 기소 중지 결정을 내렸다. 당시 검찰은 “수사 결과 누군가가 고소인들의 휴대전화를 몰래 복제한 사실은 밝혀졌다.
그러나 전화를 불법 복제한 ‘누군가’를 찾아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누군가를 기소 중지했다”고 밝혔다. 또 “누군가를 밝히지 못한 상태에서 누군가와 삼성 관계자들의 연관 여부를 밝힐 수도 없어, 누군가를 밝힐 때까지 삼성 관계자들에 대한 수사를 중단하는 참고인 중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당연히 부실 수사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삼성무노조 노동자탄압 삼성핸드폰 위치추적 사건, 검찰은 재수사하라!
구조본 인사팀 팀장이었던 노인식 부사장, 삼성노동자 위치추적 인정했다
위치추적 사건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과거 삼성 구조조정본부(미래전략실의 전신) 법무팀장이던 김용철 변호사는 2008년 1월 <프레시안> 인터뷰에서 “당시 구조본 인사팀 팀장이었던 노인식 부사장에게 ‘(삼성SDI 노동자들을 표적 삼아) 정말 위치추적을 했느냐’고 물어봤다. 그랬더니 고개를 어색하게 끄덕이며 시인하더라”고 말했다.
또 삼성전자 인사팀에서 근무했던 서아무개씨는 삼성일반노조에 구체적으로 누가 위치추적을 시도했는지 제보한다. 이를 통해 검찰이 ‘누군가’라는 기묘한 단어로 표현했던 피의자를 특정한 김성환 위원장은 2008년 3월 삼성을 검찰에 고소했지만 서울중앙지검은 두 달 만에 공소시효가 끝나 재수사가 필요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
김 위원장은 2009년 2월 다시 삼성을 고소했지만, 성과는 없었다. 결국 이 사건의 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