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책임 회피와 거짓으로 채워진 국정감사...하청 노동자 출석이 필요했던 이유 > 보도자료/성명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성명

[보도자료] 책임 회피와 거짓으로 채워진 국정감사...하청 노동자 출석이 필요했던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변인 작성일24-10-16 08:05
조회200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책임회피와 거짓으로 채워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화오션 국정감사
하청노동자 참고인 출석이 반드시 필요했던 이유

10월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화오션 중대재해 문제가 비중 있게 다뤄졌다. 환노위 국회의원들은 노동부 부산청장, 통영지청장 그리고 한화오션 정인섭 전 사장에게 9월 9일 추락 사망사고의 원인, 사고 후 작업중지명령 범위와 해제과정의 문제, 재발방지대책 등에 대해 따져 물었다.

그런데 노동부 부산청장, 통영지청장, 정인섭 한화오션 전 사장의 답변은 책임회피에 급급한 것이었고 일부는 사실이 아닌 거짓이었다. 하지만 짧은 질의 시간에 거짓을 확인하거나 면밀하게 따지는 건 쉽지 않았다. 고용노동부와 한화오션의 책임회피와 거짓 답변에 즉각 현장의 목소리, 진실의 목소리를 들려줄 하청노동자 참고인 채택이 반드시 필요했던 이유를 절감하는 시간이었다.

○ 2024년 들어 한화오션에서 사망한 하청노동자는 7명이 맞다

김주영 의원이 2024년 한화오션에서 사망한 노동자가 7명이라고 노조측에서 주장하고 있다고 묻자, 정인섭 전 사장은 7명이 아니라 5명이라고 답했다. 노동부 부산청장도 7건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발생한 중대재해 건수이고 2024년 사망자 수는 5명이 맞는다고 동문서답을 했다.

2024년 한화오션에서 사망한 노동자는 7명이 맞다. 한화오션이나 노동부의 표현을 빌리면 중대재해 3명, 온열질환 의심 1명, 원인불명 익사 1명 이외에 3월 4일 사내에서 구토증상이 있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심근경색으로 사명한 하청노동자가 있고, 8월 19일 집에서 뇌심혈관계 의심 증상으로 숨진 채 발견된 하청노동자가 있다. 이들 사망 노동자 두 명에 대해서는 한화오션도 노동부도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 것은 이들 노동자가 뇌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했고, 여기에 대해서는 기업의 책임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화오션이나 노동부가 어떤 관점으로 노동자의 생명을 바라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동종작업은 ‘랏싱브릿지 탑재’작업이 아니라 ‘컨테이너선 상부 고소작업’이다

이용우 의원, 정혜경 의원 등 여러 의원이, 노동부가 협소한 범위에 국한해서 작업중지명령을 한 것에 대해 문제제기했다. 하지만 노동부 부산청장은 이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동종작업’이라고 되어있다는 말만 무슨 주문을 외듯이 되풀이했다.

2019년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중대재해 발생시 작업중지명령 범위가 ‘해당작업’과 ‘동종작업’으로 국한된 현행법의 문제점은 차지해 두자. 이번 한화오션 중대재해 작업중지명령의 문제점은 노동부가 ‘동종작업’을 판단하면서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기준으로 삼지 않았다는 데 있다.

9월 9일 한화오션 중대재해는 ①컨테이너선 상부에서 ②랏싱브릿지 탑재자업을 하다 발생한 ③추락사고이다. 그리고 사고의 원인은 랏싱브릿지 탑재공정에 있는 것이 아니라 32미터 높이의 컨테이너선 상부에 설치된, 추락방지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는 위법한 안전난간에 있다.

그러므로 노동자 생명과 안전을 기준으로 하여 ‘동종작업’을 판단한다면 당연히 동종작업은 ‘랏싱브릿지 탑재작업’이 아니라 추락 방지 안전조치가 확보되지 않는 ‘컨테이너선 상부 고소작업’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을 형식적,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동종작업을 ‘랏싱브릿지 탑재작업’이라고 판단했다. 그 결과 사고 이후 지금까지 한화오션에서 건조 중인 9척의 컨테이너산 상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추락사고 위험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 “당시엔 저렇게까지 심하진 않았는데 원인은 모르겠다”는 노동부의 뻔뻔함

이학영 의원 등 여러 의원이, 안전조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동부가 섣부르게 작업중지를 해제한 것을 지적했다. 그러자 노동부 통영지청장은 “당시엔 (추락방지 조치 미흡 정도가) 저렇게까지 심하진 않았는데 원인은 모르겠다. 드릴 말씀이 없다”라고 뻔뻔하게 답변했다.

조선하청지회가 작업중지 해제 다음날인 10월 11일 오후에 현장안전점검을 한 결과 모든 컨테이너선 상부는, 추락 사망사고가 발생한 컨테이너선 상부와 여전히 똑같은 조건에 있었다. 바뀐 것이라고는 ‘클램프 고정’ 하나뿐이었고, 클램프로 고정해도 허술한 밧줄과 그물망이 그대로인 한 추락위험 역시 그대로였다.

9척 컨테이너선이 모두 같은 상황이므로, 근로감독관 2명과 산업안전공단 2명이 작업중지명령 해제를 위해 현장을 확인했을 때는 “저렇게까지 심하지는 않았”다는 노동부 통영지청장의 답변은 뻔뻔한 거짓말일 수밖에 없다. 또한, 사고 이후 조선하청지회가 수도 없이 컨테이너선 상부의 여전한 추락 위험성을 노동부에 주장하고 항의했고, 지금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진실은 여전히 추락위험 가득한 컨테이너선 상부의 상황을 노동부가 알면서도 안전조치가 되었다며 작업중지해제 결정을 한 것이다.

작업중지명령을 할 때도 그리고 그것을 해제하는 결정을 할 때도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은 말 그대로 내팽개쳐졌다.

한편, 노동부 통영지청장은 작업중지 해제 이후인 10월 11일 정규직 노동조합이 컨테이너선 상부 밧줄과 그물망으로 된 안전난간에 대해 자체 작업중지를 했고, 한화오션과 협의하여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한 후 작업중지를 해제한 사례를 말하며 그래서 마치 안전조치가 충분히 강화된 것처럼 현실을 감추고 속이는 답변을 했다.

정규직노동조합의 작업중지명령으로, 기존에 밧줄과 그물망뿐이어서 나풀거리며 벌어지던 안전난간 하부에 철제 파이프를 가로지르고 난간기둥 및 밧줄과 고정하는 추가적 안전조치가 취해진 것은 맞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는 1개 컨테이너선의 일부 부분에 국한된 것이며 해당 컨테이너선의 다른 부분과 나머지 8개 컨테이너선은 여전히 허술한 밧줄과 그물망뿐이다.

한편, 이같이 그물망 하부에 철제 파이프를 가로지르는 안전조치를 모든 컨테이너선에 하라는 이용우 의원의 요구에 대해 정인섭 전 사장이 “알겠다”고 대답했다. 그 대답이 그냥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것인지 아닌지 지켜볼 일이다.


○ 뒤늣은 현장 근로감독은 국정감사 면피용?

또한, 노동부 부산청장은 “그렇지 않아도 작업중지 해제 이후 회사 조치가 부족하다는 문제제기가 있어서 지난 14일부터 통영지청 감독관 등 20여 명이 현장 근로감독에 다시 착수했다”고 답변했다.

그런데 한 가지 의아한 사실은 노동부가 무려 20명이라는 대규모 인원으로 현장 근로감독을 하면서, 이번에 문제가 된 컨테이너선 상부의 안전조치 여부는 살펴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위에 적시된 장소를 포함한 조선소 모든 장소에 노동부 안전감독이 필요하다. 하지만 노동부 부산청장의 답변처럼 안전조치가 부실한 채 작업중지가 해제되어 추가적으로 하는 안전감독이라면, 당연히 컨테이너선 상부의 추락 방지 안전조치 여부에 대한 감독이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안전감독 범위를 알리는 공지를 보고 “외곽만 도네요”라고 말하는 하청노동자의 반응과 같이, 노동부 안전감독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 작업중지 해제 위해 하청노동자 175명의 의견을 들었다?

한편, 정인섭 전 사장은 작업중지 해제를 하기에 현장에서 직접 일하는 하청노동자의 의견은 청취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하청노동자 175명 의견을 들었다”고 여러 번 답변했 장면은 오늘 국정감사의 하이라이트였다.

그런데 금시초문이다. 정말 한화오션이 하청노동자 175명의 의견을 들었는데, 조선하청지회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걸까.

노동부는 기업이 작업중지 해제 신청을 할 때, 사고가 난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에게 현장에 충분한 안전조치가 되었다는 서명을 받아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래서 하청노동자는 자신이 일하는 현장이 여전히 위험한데도, 사고 이후 안전조치가 되어 현장이 안전해졌다는 서명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도가 현실에 적용될 때 그 취지와 달리 하청노동자 스스로 여전히 안전하지 않은 현장을 안전하다고 확인 서명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단언컨대, 한화오현 정인섭 전 사장이 하청노동자 175명의 의견을 들었다는 것은 작업중지 해제 신청서류에 하청노동자 175명의 형식적인 서명이 된 확인서가 포함되어 있다는 말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렇지 않다면, 한화오션은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어떤 방법으로 175명 노동자의 의견을 청취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할 것이다ㅣ.


○ 더욱 확대되는 한화오션 하청노동자 임금체불

한화오션 정인섭 전 사장의 국정감사 답변 중 또 하나 오래 기억될 명장면은 김태선 의원이 한화오션의 임금체불이 15억 원이나 되는 것을 아느냐고 묻자, 마치 의아하다는 듯한 표정으로 한화오션에는 임금체불이 없다고 대답한 장면이다. 이에 김태선 의원은 자신의 질문이 하청노동자 임금체불에 대한 질문이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정인섭 전 사장이 마치 모르는 척하고 있다고 질책했다.

국정감사 당일인 10월 15일은 하청노동자 월급날이었다. 그런데 이날 한화오션에서는 지난 2월이나 5월보다 더 큰 규모의 하청노동자 임금체불이 발생했다. 1~2곳을 제외한 모든 탑재업체들이 적게는 15%에서 많게는 50%까지 임금을 체불했고, 사외업체 한 곳은 아예 임금 전액을 지급하지 않았다.

특히, 탑재업체뿐 아니라 도장업체에서도 처음으로 임금체불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번 하청업체 임금체불은 그것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는 신호로 보인다.

한화오션은 2024년 1분기 529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2분기 적자로 영업이익이 433억 원으로 주춤했지만, 3분기 다시 흑자로 돌아서 언론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어도 대략 600억 원 내외의 영엽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원청 한화오션은 수백억 원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데 하청업체는 연초부터 발생한 하청노동자 임금체불이 더 확대되고 있다. 적자를 견디다 못한 하청업체의 폐업도 계속되고 있고, 폐업에 따른 임금체불도 계속 확산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 한화오션은 기성금 후려치기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원하청 불공정거래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국정감사장에서 마치 모르는 척 의아한 척 연기를 펼친 정인섭 전 사장이라면 없다고 자신 있게 말할지도 모르겠다.


○ 예고된 대참사, 웃으며 아이돌과 셀카 찍기

한화오션 정인섭 전 사장의 위기는 전혀 예상치 못한 순간 터져나왔다. 자신에 대한 질의를 기다리며, 뒷줄에 앉아 있는 또 다른 국정감사 증인인 아이돌 걸그룹 뉴진스의 하니 팜 씨가 같은 화면에 나오게 하여 웃으며 셀카를 찍는 모습이 언론 카메라에 포착된 것이다.

이 같은 정인섭 전 사장의 어처구니없는 태도에 대해 김태선 의원이 질책한 뒤 다른 의원들도 잇따라 정인섭 전 사장이 국정감사에 임하는 태도에 대해 문제제기했다. 정인섭 전 사장이 여성 아이돌 가수와 함께(?) 셀카를 찍는 모습은 언론 보도를 통해 순식간에게 퍼졌고 이른바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급기야 의원들은 10월 25일 환경노동위원회 종합감사 때 월급쟁이 사장이 아닌 이른바 한화그룹의 ‘오너’ 김동관 부회장을 증인으로 부르자는 의견을 냈고, 이에 화들짝 놀란 한화오션은 다급하게 사과를 담은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른바 ‘정인섭 셀카 파동’이라고 부를만한 한편의 코미디같은 장면이었다.

정인섭 전 사장 입장에서는, 순간의 실수가 불러온 예상하지 못한 악재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는, 노동자의 잇따른 죽음에 대한 진심 어린 추모와 깊은 책임감은 보이지 않고 시종일관 여유 있고 자신만만한 모습으로 국정감사장에 선, 스마트조선소 구축이 중대재해를 예방할 거라고 대답하는 순간이 가장 자신만만했던 정인섭 전 사장의 모습에서 이미 예고된 대참사라고 할 수 있다.

국정감사를 지켜본 많은 하청노동자는 “최고경영인이 저란 생각과 태도를 가지고 있으니, 한화오션이 잇따르는 중대재해를 막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는 반응을 보였다.


○ 하청노동자가 참고인으로 출석했더라면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은 한화오션 중대재해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해 질문했지만, 노동부 부산청장과 통영지청장 그리고 한화오션 정인섭 전 사장은 책임회피와 거짓 답변으로 국정감사장을 채웠다.

만약, 이 자리에 한화오션에서 일하는 하청노동자가 참고인으로 참석했으면 어땠을까.  책임회피에 급급하고 사실과 다른 답변을 하는 노동부와 정인섭 전 사장에게 일침을 날리고,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하지 않았을까. 하청노동자의 참고인 채택이 꼭 필요했음을 절실하게 확인하는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였다. (끝) 

서울시 중구 정동길 5(정동 22-2) 경향신문사 별관 6층
TEL. 02-2670-9555 (가입상담 1811-9509)
FAX. 02-2679-3714 E-mail : kmwu@jinbo.net
Copyrightⓒ 2017 전국금속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