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닫기

전체 카테고리

전체검색 닫기

전체 검색

사이트 내 전체검색

민주노총 대의원대회 유회, 책임지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 소식지/선전물

본문 바로가기

소식

노동조합 가입 안내/문의

02-2670-9555
E-mail. kmwu@jinbo.net
FAX. 02-2679-3714
토요일ㆍ일요일ㆍ공유일 휴무

소식지/선전물

민주노총 대의원대회 유회, 책임지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금속전북 작성일08-01-25 08:56 조회3,663회

본문

민주노총 대의원대회가 또 한번 유회되었다. 수구 보수 정권이 판을 치는 이 때, 우리의 모습을 통렬히 반성해 보아야 할것이다. 다음은 민주노총 대의원대회 관련 기사이다. 민주노총 ‘대의원대회 유회’ 어디까지 가나… 정기대대 대의원참석률 하락세 뚜렷, 근본대책 절실 최근 민주노총 대의원대회가 유회를 거듭하면서 민주노총 조직 전반에 대한 심각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해 9월 42차 대의원대회가 44.1%의 과반수 미달 성원참석으로 아예 성립조차 되지 못하고 무산된 것은 큰 충격이기도 했다. △민주노총 43차 대의원대회 장면. 지난해 1월 26일 이석행 집행부 선출이 있던 대의원대회(40차)가 다음날 새벽2시경 ‘직선제’ 관련 성원미달로 유회된 바 있고, 4월 대의원대회(41차)는 임원직선제가 가결되는 성과를 보였지만 재정혁신건으로 유회되는 등 차질을 빚은 바 있다. 제5기 이석행 집행부의 1년 평가와 08년 사업을 결정하게 될 이번 제43차 정기대의원대회마저도 55%의 성원 참석으로 회의가 원만히 이뤄지는가 했지만 그 고비를 넘지 못하고 유회되는 사태로 빚어져 민주노총 사업전반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는 형국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민주노총 대의원대회 참석률은 하락의 경향세를 보이고 있다. 작년 4차례 대의원대회가 개최됐지만 8월 이랜드-뉴코아 투쟁 단일 현안 관련 대의원대회(41차)만 표면상 정상적으로 치러졌을 뿐이고 이마저도 55%의 참석률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참석률은 지난해 40차 대의원대회가 54.8%를 보이면서 50%대로 내려앉은 이후 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기대의원대회는 1년에 한 번 하는 민주노총 최고의결 행사로 사업평가와 사업계획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이기 때문에 참석률이 주는 의미는 크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정기대의원대회의 참석률 하락세 경향은 뚜렷하다. 2004년 1월 이수호 집행부 선출이 있던 대의원대회(31차)에서 92.3%의 참석률을 보인 이후 2005년(72.2%)→2006년(68.5%)→2007년(69.4%)을 거치면서 급기야 올해 43차 대의원대회는 55%의 참석률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대의원대회 성원미달 유회현상은 사안별로 결부돼 드러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수호 집행부 2년차 시작을 위한 2005년 정기대의원대회(36차)의 경우 ‘사회적교섭건’ 관련 논란 끝에 다음날 05시30분경 유회된 바 있다. 또한 2006년 정기대의원대회(36차)의 경우 KT노조 징계와 현대자동차노조 파견대의원문제로 논란 끝에 유회됐으며, 지난해 4월 임시대의원대회(40차)에서는 ‘재정혁신방안건’ 관련 수정안 논의 도중 성원미달로 유회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대의원대회는 ‘사안 대두 유회’라는 성격을 넘어 아예 ‘관성적인 유회’로 가고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마저 제기되고 있다. ‘의무금 인상방안’이 심의 처리된 이후 정기대대의 통상 기본안건인 ‘사업평가 및 계획과 예산안’이 제대로 심의 처리되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차기에 소집될 민주노총 제44차 대의원대회 개최 운영 및 유회에 대한 대응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재정혁신안 중 이번 정기대대에서 통과된 의무금 인상 건과 함께 몇 년간 처리되지 못하고 논란이 돼 차기 회의로 유예된 ‘국고 세수활용 재정방안’이 어떻게 가닥을 잡을지도 새로운 변수거리로 떠오를 전망이다. <글=강상철기자, 사진=이기태기자/노동과세계>